옥씨부인전 줄거리·시청률·등장인물(임지연·추영우 주연 사극 드라마)

2024년 11월부터 2025년 1월까지 JTBC에서 방영된 옥씨부인전은 임지연, 추영우 주연의 사극 드라마입니다. 이 작품은 노비(하인) 출신 여성이 양반가 규수로 오해받으며 벌어지는 생존 이야기와 사기극을 담고 있습니다.

겉으로 보면 무겁고 어려운 주제일 것 같지만, 실제로는 “자신의 삶을 지켜내려는 여성의 강인함”과 “사랑과 신뢰”를 쉽게 전달하는 작품이에요.


옥씨부인전 기본 정보

옥씨부인전
  • 방송사: JTBC
  • OTT : 티빙, 넷플릭스, 쿠팡플레이, 웨이브
  • 방영 기간: 2024년 11월 30일 ~ 2025년 1월 26일
  • 편성: 토·일 드라마
  • 회차: 총 16부작
  • 장르: 사극, 멜로, 미스터리
  • 제작: 스튜디오드래곤 외
  • 주요 출연: 임지연(구덕이/옥태영), 추영우(천승휘/성윤겸), 김재원(성도겸), 연우(차미령)

줄거리

이야기의 시작은 구덕이라는 여성으로부터 출발합니다.
구덕이는 노비 신분으로 태어나 온갖 멸시와 차별을 당하며 살았습니다. 하지만 누구보다 똑똑하고 글재주가 뛰어나, 늘 “더 나은 삶”을 꿈꾸고 있었죠.

그러던 어느 날, 양반가 규수 옥태영이 갑작스럽게 죽는 사건이 벌어집니다. 운명처럼 구덕이는 옥태영으로 오해받게 되고, 그때부터 그녀의 삶은 완전히 바뀝니다.

구덕이는 본래 신분이 드러나면 목숨을 잃을 수 있는 위험한 상황에서도 “옥씨부인”이라는 이름을 지키기 위해 사투를 벌입니다. 동시에 그녀의 주변에는 정체를 알 수 없는 이야기꾼 천승휘가 나타나 그녀를 지켜주려 하고, 여러 양반가와 관리들의 권력 다툼 속에서 음모가 얽히게 됩니다.

드라마는 단순히 신분을 속이는 이야기를 넘어,

  • “과연 나라는 존재는 무엇으로 정의되는가?”
  • “사람을 구분 짓는 신분과 이름이 진짜 중요한가?”

라는 철학적인 질문을 던집니다. 그러나 무겁지 않고, 긴장과 로맨스가 교차하는 흥미로운 이야기로 풀어내어 쉽게 다가옵니다.


주요 등장인물

옥태영 / 구덕이(임지연)

옥태영 구덕이 임지연
  • 본래는 노비였지만, 우연한 계기로 양반 규수 옥태영으로 살게 됩니다.
  • 어릴 적부터 글과 재주가 뛰어나 스스로의 운명을 바꾸려 했지만 사회적 한계에 막혀 있었습니다.
  • 그녀는 생존을 위해 사기극을 벌이지만, 동시에 억눌린 여성으로서 주체적인 삶을 개척하는 강인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송서인/ 천승휘(추영우)

송서인 천승휘 추영우
  • 이야기꾼(전기수)이자, 구덕이의 과거와 연결된 비밀을 가진 남자.
  • 그는 구덕이를 지켜내기 위해 목숨을 걸고, 그녀의 곁에서 힘이 되어줍니다.
  • 드라마 후반부에서는 그의 숨겨진 정체가 밝혀지며 큰 반전을 일으킵니다.

성윤겸(추영우)

성윤겸 추영우
  • 천승휘와 같은 배우가 맡은 또 다른 인물.
  • 양반가 자제로, 권력 다툼과 혼인 문제로 구덕이와 얽히며 극의 긴장감을 더합니다.
  • 같은 얼굴이지만 다른 정체성은 드라마의 서스펜스 요소입니다.

성도겸(김재원)

성도겸 김재원
  • 양반가 둘째 아들로, 형과 비교당하며 자라왔습니다.
  • 구덕이와 얽히면서 충돌과 갈등을 겪고, 권력과 사랑 사이에서 흔들리는 복잡한 인물입니다.

차미령(연우)

차미령 연우
  • 성도겸의 아내. 겉보기엔 단아하지만 속에는 비밀을 품고 있는 인물.
  • 그녀의 진짜 정체와 선택은 드라마의 반전을 만들어냅니다.

그 외 인물

  • 한씨 부인(김미숙): 옥가문의 권위자, 구덕이의 정체를 처음부터 의심하면서도 끝내 지켜보는 인물.
  • 개죽: 구덕이의 아버지. 헌신적인 부성애를 보여줍니다.
  • 김낙수·소혜: 양반가 인물들로 구덕이를 위협하는 존재들.

옥씨부인전 인물관계도

옥씨부인전 인물관계도

시청률과 반응

옥씨부인전은 첫 방송부터 화제를 모았고, 최종회에서는 전국 13.6%, 수도권 14.0%라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습니다. 분당 최고 시청률은 15.1%까지 오르며 JTBC 드라마 중에서도 굵직한 성과를 남겼습니다.

시청자 반응은 “임지연의 압도적 연기력”, “추영우와의 케미”, “여성 서사를 중심에 둔 신선한 사극”이라는 긍정적인 평가가 많았습니다.


촬영지

〈옥씨부인전〉은 한국 전통 건축과 자연 풍광을 아름답게 활용했습니다.

  • 전주 한옥마을: 옥가 저택 외경 장면 촬영.
  • 경북 안동 하회마을: 양반가 생활상을 재현한 장면 다수.
  • 경기도 용인 민속촌: 시장, 관아, 노비 생활 재현.
  • 강원도 삼척 바닷가: 마지막 회 바닷가 장면의 주요 배경.

이런 촬영지는 드라마의 몰입도를 크게 높여 시청자들에게 “사극 감성”을 제대로 느끼게 했습니다.

결말

마지막 회에서 구덕이의 정체는 결국 드러나지만, 그녀는 이미 많은 이들의 신뢰와 존경을 얻은 상태였습니다.
그녀는 스스로의 삶을 선택하고, 천승휘와 함께 바닷가 마을에서 새 출발을 합니다.
드라마는 “신분과 이름을 넘어, 진짜 자신을 지켜내는 용기”라는 메시지를 남기며 따뜻하게 마무리되었습니다.

옥씨부인전은 단순한 신분 위장극이 아니라, 여성의 주체성과 사랑, 정의를 담은 이야기입니다.
임지연의 몰입도 높은 연기, 추영우와의 케미, 전통미 가득한 촬영지와 OST까지 어우러져 최근 방영된 사극 중에서도 높은 완성도를 자랑합니다.

개인적으로 사극은 별로 좋아하지 않는데 정말 재미있게 보았습니다. 추영우의 다른 드라마 견우와 선녀도 추천드립니다. 가볍게 볼 수 있는 로맨스 드라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