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유리기판 사업 진출 이유와 관련주

삼성 계열사 중에서는 삼성전기가 유리기판을 개발 및 양산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기사에 따르면 삼성전자 유리기판 사업에 진출한다고 보도되었습니다. 삼성전기의 사업부를 인수를 할지, 아니면 관련 소부장과 협업을 통해 제작을 할지 확정된 것은 없습니다. 다만 전문가들은 유리기판 사업 진출은 올바른 방향이라고 전하고 있습니다. 아래에서 삼성전자 유리기판 사업 진출에 대해 전해 드립니다.

삼성전자 유리기판 진출 이유

기판은 여러 주요 부품들을 연결해주는 하나의 판으로 예를 들어, 컴퓨터 메인보드(기판)에는 CPU, 메모리, SSD, 하드디스크 등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특히, AI 칩에는 고성능 반도체들이 연결되는데 성능이 늘어날수록 발열이 심해집니다. 따라서 기존 플라스틱 기판은 이러한 발열에 약하기에 성능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유리기판은 플라스틱 기판을 대체할 수 있는 핵심 부품입니다. 유리기판은 현재까지 상용화된 적 없으면 관련 기업들이 양산 계획을 발표하고 있는 차세대 기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삼성전자 입장에서는 메모리, 파운드리, 시스템반도체 등 반도체 사업 경쟁력을 회복하기 위한 돌파구가 될 수 있습니다.

현재 삼성전자는 유리기판 상용화를 위해 다수의 소부장(소재 부품 장비) 업체와 컨택 중이며, 반도체 사업부문(DS)의 패키징 인력을 중심으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는 독자 공급망을 구축하려는 의도로 볼 수 있습니다. 이미 업계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자체 공급망을 물색 중이며 기술 논의를 시작했다는 소문이 퍼져 있습니다.

이번에 삼성전자 유리기판 개발 추진은 처음 확인되었습니다. 삼성전기, LG이노텍 등의 국내 대기업과 부품소재 업체인 앱솔릭스(SKC 자회사), 글로벌 반도체 기업 인텔 정도가 개발을 추진중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만큼 국내외 대기업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현재 기조는 삼성전기의 사업부를 인수하는 것이 아닌 유리 기판 제조에 필요한 기술과 장비를 확보해 생산은 외주에 맡길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반도체 패키징에 필요한 인터포저 기판을 유리로 대체하고자 합니다.

앞서 말씀드렸듯 반도체 기술에서의 중요성과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을 보고 유리기판 사업에 진출하였습니다. 유리기판은 표면이 매끄럽고 얇아 미세 회로를 구현할 수 있고 열로 인한 휘어짐이 적어 고성능 반도체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반도체에서의 유리 사용은 필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장점이 확실한 반면 미세한 금이나 부스러기도 반도체에 영향을 주기에 개발 난이도가 높아 제조가 쉽지 않다는 확실한 단점도 있습니다.

AI 시대는 이제 시작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소재, 부품, 장비는 고성능 반도체에 대한 수요에 맞춰 준비 중이지만 유리기판은 아직 많은 준비가 필요합니다. 즉, 삼성전자 입장에서는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유리기판을 선점한다면 시스템 반도체를 제조할 수 있는 파운드리 사업을 강화할 수 있고 자체 시스템 반도체의 성능을 극적으로 끌어 올릴 수 있습니다. 현재 파운드리 사업의 가장 아픈 손가락 엑시노스의 발열 문제를 잡을 수 있게 됩니다.

삼성전자 유리기판이 압도적인 성능을 내고 대규모로 양산에 성공한다면, 턴키 전략을 실행하는 삼성전자는 반도체 업계에서 다시 한번 압도적 주도권을 잡을 수 있습니다. 자체 소비 외 인텔, AMD와 같은 업체에도 제공할 수 있기에 또 하나의 핵심 사업이 될 수 있습니다.

  • SKC : 자회사인 앱솔릭스를 통해 미국 조지아에 시생산 라인을 구축
  • 삼성전기 : 세종공장 시생산 라인 구축, 2026년 시제품 양산 2027년 대량 생산 체제 구축
  • LG이노텍 : 공급망 구축 중, 2025년 말 시생산 계획
  • 인텔 : 시생산 라인 구축, 2030년 양산 목표, 자체 소비 및 외부 판매도 고려중
  • 삼성전자 : 공급망 구축 및 외주 생산 추진

시장조사업체에 따르면 유리기판 시장 규모는 2023년 71억 달러, 10조 4,4000억 원에서 2028년 84억 달러, 약 12조 3,500억 원으로 1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유리기판 관련주

삼성전자가 유리기판 사업으로 2월 7일 필옵틱스 15.93%, 와이씨켐 8.80%, 램테크놀러지 16.05%, 한빛레이저 7.70%, 켐트로닉스 4.68% 등 관련 기업들의 주식이 급등하였습니다.

필옵틱스

필옵틱스는 OLED 레이저 가공 장비를 세계 최초로 양산에 성공하여 디스플레이 시장에 이어 반도체 시장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초기 인쇄 회로 기판 및 평판 디스플레이 장비 제조를 시작했지만 연구개발을 통해 OLED 레이저 가공 분야에 독보적인 기술력을 확보하였습니다.

특히 전극 통로에 필요한 미세한 구멍을 뚫는 TGV(Through Glass Via) 레이저 장비를 SKC와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의 유리기판 합작사인 앱솔릭스에 공급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균열이 발생하기 쉬운 유리기판에 미세한 구멍을 뚫고 균열이 생기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삼성 SDI 부사장 출신을 신사업 부문 사장으로 영입하여 사업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램테크놀로지

램테크놀로지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의 분야에 필수적인 화학 약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유리기판에 사용되는 식각 기술 관련 특허를 보유하고 있기에 삼성전자의 유리기판 시장 진출로 수혜가 예상됩니다.

반도체 화학 약품 제조로 성장해 왔으며 디스플레이, OLED, 2차 전지 등 IT 전반에 걸쳐 화약 약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상 삼성전자 유리기판 사업 진출 이유와 관련주에 대해 전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