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타그램, 페이스북의 마크 저커버그가 CEO로 있는 메타가 한국의 인공지능 반도체 스타트업 퓨리오사 AI 인수를 추진한다고 미국 경제 매체 포브스가 밝혔습니다. 현재 전문가 및 반도체 업계에서는 인수 가능성이 적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메타는 자체 AI칩 개발을 진행했으나 성공하지 못했고 많은 비용을 쓰는 대신에 차라리 가능성 있는 기업을 인수하려고 전략을 변경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아래에서 메타가 퓨리오사 AI 인수할까? 에 대해 전해 드립니다.
메타는 왜 퓨리오사 AI를 인수하는가요?
12일 투자은행 업계에 따르면 현재 메타는 퓨리오사 AI를 인수하기 위해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제 보도가 나온 상황이이에 아직 구체적인 매각 조건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퓨리오사가 최근 시리즈C 브릿지 투자를 통해 8,000억 원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기에 이 금액을 기준으로 매각가 등이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메타가 AI 칩 개발을 위해 여러 칩 설계 기업을 찾아보고 있으며 그 중에서 퓨리오사 AI 인수를 추진할만한 이유는 충분하다고 말합니다. 이는 메타가 오랫동안 개발하고 있던 ‘MTIA’ AI칩이 기대했던 만큼 성능을 내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현재 메타는 많은 비용을 사용하여 엔비디아 칩을 사용하고 있고 AI가 보다 더 대중화되기 전에 자체 칩을 사용하여 비용을 줄일 필요가 있습니다.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는 지난달 24일에 2025년 데이터센터 등의 인프라 구축을 위해 최대 650억 달러, 한화 약 94조 4,125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습니다. 앞으로 몇년간 이러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해야 하는데 만약 이 비용을 줄이지 못한다면 AI 시장에서 도태될 수도 있습니다.
현재 메타의 생성형 AI인 라마를 구동시킬 수 있는 AI 칩은 전세계적으로 많지 않습니다. 엔비디아, 그로크(Groq), 세베브라스(Cerebras) 정도이며 이 또한 가격이 생각 이상으로 비쌉니다. 하지만 퓨리오사 AI는 라마를 구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의 스타트업 중에서도 인수 비용이 낮기에 메타 입장에서는 가장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여기에 오픈 AI가 자체 칩을 개발할 예정이기에 메타 입장에서는 마음이 급할 수 밖에 없습니다. 또한 중국 AI 딥시크가 고성능의 비싼 칩을 쓰지 않고도 높은 성과를 낸 점 역시 인수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딥시크는 학습은 엔비디아의 H100, 추론은 화웨이의 Ascend 910C를 사용하였습니다.
퓨리오사 AI는 2024년 8월 차세대 반도체 레니게이드(RNGD)를 공개하였고 올해 대만 TSMC에서 양산할 계획입니다. 메타 입장에서는 레니게이드가 라마2와 라마3 같은 생성형 AI모델을 구동하는데 문제가 없기에 대규모 배포에 이상적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포브스는 인수 절차가 마무리되고 있으며 빠르면 이달 안에 메타 인수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메타가 퓨리오사 AI를 인수하면 한국의 다른 AI 반도체 스타트업들도 유사한 케이스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 일본, 대만의 반도체 기업보다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한국 반도체 기업들이 미국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로 인해 새로운 기회를 잡을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특히 HBM을 생산하는 메모리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몸값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퓨리오사AI는 어떤 회사인가?
퓨리오사 AI는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와 미국 반도체 기업 AMD의 엔지니어 출신인 백준호 대표가 2017년 세운 반도체 설계 전문 팹리스 기업입니다. 이미 반도체 업계에서는 리벨리온과 함께 데이터센터 서버용 AI 추론 반도체를 개발한 유망한 스타트업으로 미래의 핵심 기술로 불리는 AI칩과 관련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데이터센터, 자율주행차 등의 서비스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AI 추론에 최적화된 반도체를 설계하고 있습니다.
첫번째 칩 워보이(WARBOY)
첫 번째 제품으로 최대 65 TOPS(Tera Operations Per Second)의 데이터 처리 속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삼성의 14나노 공정에서 제조되었고 현재 이미지 복원, 온라인 교육, 스트리밍 등의 기업에서 활용 중에 있습니다. 이 제품은 엔비디아의 A2 칩보다 우수한 성능으로 퓨리오사 AI의 기술력을 입증하였고 2022년 워보이의 소프트웨어 개선만으로 2배로 성능을 향상시켰습니다.
두번째 칩 레니게이드(RNGD)
2024년 3분기에 출시된 두번째 칩입니다. 최대 512 TOPS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제공하고 있으며 올해 TSMC의 5나노 공정에서 양산될 예정입니다. 기존 칩이 LPDDR4X를 사용한 반면 레니게이드는 HBM3를 탑재하여 성능을 대폭 향상 시켰습니다.
영업이익은 2019년 -28억, 2020년 -51억, 2021년 -143억, 2022년 -501억이며 2023년 총매출은 36억 2,235만원, 영업이익 -637억 3천만원으로 현재 계속 적자 상태입니다. 다만 유망한 스타트업으로 계속 투자를 받고 있으며 현재까지 총 투자 받은 금액은 880억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회사 이름은 영화 매드맥스의 기득권에 저항하는 여전사 퓨리오사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매드맥스와 같이 엔비디아가 기득권을 잡고 있는 AI 업계에서 큰 저항을 불러 일으키길 바랍니다. 이상 메타가 퓨리오사 AI 인수할까?에 대해 전해 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